삼성전자가 야심 차게 기획 출시한 갤럭시 S22 울트라와 함께 업데이트한 운영체제 ONE UI 4.0(원 UI 4.0)이 GOS라는 기능을 의무화하면서, 오히려 성능이 떨어지게 되었다는 논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말 많은 GOS, 뭐지?
게임 최적화 서비스 Game Optimizing Service의 약자로 '성능을 최적화한다'입니다. GOS는 고성능을 요구하는 게임 앱을 실행 시 기기의 1초 동안 바뀌는 화면의 이미지수와 그래픽 처리장치(GPU) 성능을 고의로 떨어트리는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입니다. 삼성전자는 기기 발열로 인한 안전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탑재하였다고 밝혔습니다.
S22를 안사면 될까?
갤럭시 S22시리즈에만 GOS가 탑재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2016년에 출시된 갤럭시 스마트폰 모델 대부분이 GOS가 있었습니다. 그동안은 이용자들이 강제로 삭제하거나 우회를 하여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S22출시와 함께 'ONE UI 4.0(원 UI 4.0)' 운영체제로 업그레이드된 이후엔 아예 차단이 되어 GOS가 무조건 적용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나는 게임을 하지 않는데..
게임을 안 해도 상관없지 않습니다. 게임 앱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 앱 카메라와 구글 서비스,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등 우리들이 자주 사용하는 앱들의 데이터가 GOS로 관리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GOS 성능 제한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고성능을 강조하였습니다. 하지만 GOS로 인하여 대다수 앱에서 그 성능을 누릴 수 없게 되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핸드폰은 PC와 다르게 기게 발열이 심해지면 실제로 기기에 무리가 가기도 하고 내구성 영향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게임 중 발열이 올라오면 그때부터 서서히 성능을 낮추는 것이 아닌, 기본적으로 GOS가 작동하여 성능을 낮춰놓고 시작하는 방식이라 문제인 것입니다. 일부 게임 유저들은 스마트폰 쿨러를 이용해서라도 갤럭시의 높은 성능으로 쾌적하게 게임을 즐기고 싶어 하는데, 아예 불가능하게 만든 것은 문제입니다.
삼성전자의 답변과 허위 마케팅
소비자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삼성전자는 GOS제한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성능 우선 옵션'을 제공하는 SW 업데이트를 빠른 시일 내에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더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S22시리즈의 스펙을 공개하며 발열 처리를 위해 하드웨어 개선을 했다고 마케팅하였는데, 이것이 허위 마케팅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이용자들이 직접 갤럭시 S22를 분해하여 베이퍼 챔버 등을 살펴본 결과 하드웨어적 개선은 미미하거나 역행했다는 결과를 알려 애초에 하드웨어 개선이 잘 되었다면 GOS로 통제할 필요가 없지 않냐는 의구심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GOS의 제어 기능은 기술적으로 필요한 조치이지만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개별 앱 및 디바이스 정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이용하여 제어기반으로 삼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악용될 우려가 있습니다. 이를 소비자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고 선택권도 주지 않은 점도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이젠,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르게 메타버스 알아보기 (0) | 2022.03.10 |
---|---|
코로나19 오미크론 자가치료 방법 (0) | 2022.03.09 |
워렌 버핏, 옥시 매입 이유 (0) | 2022.03.07 |
티스토리, 네이버 검색노출 최적화 (0) | 2022.02.19 |
티스토리 글씨 크기 변경 (0) | 2022.02.16 |
댓글